COMMUNITY
소통공간
소통공간
안녕하세요, 이번에 서부 지역 대표로 인천광역시 초등학교 과학토론 대회에 참여한 학생입니다.
수소 생산 방법과 관련해서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과학토론 때 사용해도 될까요?
우선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1. 수소란 물질을 처음 발견한 실험이라고 하는 캐번디시의 수소 실험에 관한 질문입니다. 관련 자료를 잘 찾기 어려워서 질문 드립니다. 캐번디시가 수소 생산을 할 때 이용한 실험 재료는 무엇이었나요? 산성의 물질과 아연, 철 등의 금속을 이용해서 생산을 했다는 전체적인 맥락은 아나,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이 실험을 확대해 발전소에서 수소를 생산한다면 철과 아연 중 무엇을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에너지 효율은 높고, 탈탄소를 잘 실현하기 좋은 재료가 궁금합니다. 또한, 캐번디시의 실험 자체에서 온실기체가 발생하지는 않나요?
2. 현재 발전소는 무슨 일을 하나요? 그리고 답변하시는 분의 간단한 자기소개 괜찮을까요?
간단하게 위 두 가지 질문에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소와 저희 인천연료전지(주)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리며, 과학과 수소경제에 관심 있는 초등학생을 접하고 보니 대한민국 미래가 든든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1. (1)의 질문사항은 전문 에너지 연구기관에서 폭넓은 정보를 제공 받으실 수 있다고 판단되며, 연구기관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https://www.kier.re.kr/)
2. 인천연료전지(주) 발전시설은 연료(도시가스)를 개질하여 수소를 추출합니다. 추출된 수소는 이온화하여 공기를 흡입해 추출된 산소이온과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온수)을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설비용량은 39.6MW로 연간 약 3억 2천만 kWh의 전기를 생산해 동구 인근 약 11만 가구에 공급합니다. 또한, 연간 1640억 kcal의 열을 생산하여 연간 약 2만 6천 가구에 공급합니다. 저는 기술운영실의 박**대리이며, 전기와 열(온수)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비운영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설비유지보수 및 점검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추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다면, 032-766-9282로 연락 주시면 친절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